본문 바로가기
  • _^**_
무근본 IT 지식 공유

http 웹 요청시 302 found 응답이 올 경우 무슨 내용일까?!

by 크리드로얄워터 2025. 5. 20.
반응형



웹 요청에서 HTTP 302 Found 응답은 다음을 의미합니다:




✅ 요약:


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L로 이동되었다”는 의미입니다.
클라이언트(브라우저, curl, fetch, etc.)는 지정된 새 URL로 자동으로 이동(redirect) 해야 합니다.



🔍 상세 설명:

• 302 Found는 HTTP의 리디렉션 상태 코드 중 하나입니다.
• 원래는 임시 리디렉션(Temporary Redirect) 용도로 사용됩니다.
• 서버는 응답 헤더의 Location 필드에 새 목적지 URL을 포함시켜 보내며, 클라이언트는 이 URL로 다시 요청을 시도해야 합니다.

예시 응답:


HTTP/1.1 302 Found
Location: https://newsite.example.com/login




🔁 리디렉션 흐름 예시:

1. 클라이언트가 GET /dashboard 요청
2. 서버가 사용자가 로그인 안 했다고 판단
3. 302 Found 응답 + Location: /login 헤더 반환
4. 클라이언트가 /login으로 자동 이동



⚠️ 주의사항

• POST 요청에 대해 302 응답이 오면, 일부 클라이언트는 GET 요청으로 바꿔서 재시도하기도 합니다. (RFC 상 권장되지 않지만 실무에서 종종 발생)
• 보안상, 인증 또는 세션 만료와 관련된 302 리디렉션은 클라이언트 동작에 큰 영향을 줍니다.



🛠 테스트 팁 (curl 예시):


curl -i -L https://example.com

• -i: 헤더 출력
• -L: 리디렉션 따라가기



🧠 관련 상태 코드 비교:





Q1: 리디렉션이 반복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지?
Q2: 302 대신 307 또는 303을 써야 할 상황은 언제일까?
Q3: 서버 코드에서 어떻게 302 리디렉션을 구현하지 (예: Python, Node.js 등)?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