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  • _^**_
무근본 IT 지식 공유/무근본 네트워크(Network)

[무근본 네트워크 공부] 네트워크? 인터넷이 뭐야?

by 크리드로얄워터 2021. 1. 24.
반응형
네트워크란?

 

전송매체 링크로 서로 연결된 장치(노드)의 모임이다.

A network is set of devices connected by computer links.

 

대부분의 네트워크는 여러 컴퓨터에 작업을 나누어 처리하는 분산처리에 사용된다.

(분산처리- 작업을 여러개의 컴퓨터에서 나누어서 처리하는 것)

 

 

 네트워크 평가 기준

 

성능: 흔히 처리량(throughput)과 지연(delay)의 두 가지 척도로 평가된다.

 

* 지연(Delay)

 

⦁Transit Time

: 보통 여러 네트워크를 걸쳐서 통신하게 되는데, 중간 경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 의미

 

Response Time=> 보통 프로그램 입장

: 검색어 치고 답 나오는 시간처럼 요청해서 응답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

 

RTT(Round Trip Time)==> 보통 통신 네트워크 입장.

: 메시지가 갔다 오는데 걸리는 시간

 

*신뢰성

 

신뢰성이 높아야 한다는 것은 통신시 통신이 잘 꺼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 아무리 속도가 빠르고 성능이 좋아도 네트워크가 잘 죽게되면 아무 쓸모 없게된다. 또한 고장이 났을 때 얼마나 빨리 회복하는지(그렇다면 사용자가 잘 알아체지 못하므로) 재난 발생시 네트워크의 견고성 등에 의해 측정된다.(좋은 네트워크는 재난 대비해 미리 백업 다 해놓음)

보안: 불법적인 접근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해야 한다.

 

 

물리적 구조

✱ 연결 유형

 

점대점 (Point-to-Point connection) 연결

: 두 장치간의 전용 링크를 제공 채널의 전체 용량은 두 기기 간의 전송을 위해서만 쓰임

 

다중점 (multipoint, multidrop) 연결

: 세 개 이상의 특정 기기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

 

 

✱ 물리적 접속 형태(physical topology)

 

: 어떤 모양으로 연결이 되어있는지. 노드, 링크의 연결이 어떤 식으로 되어있는지 나타내어 주는 것. 링크와 디바이스 사이의 관계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한 것.

1. Mesh(그물)형 

2. Star형 

3. Bus형 

4. Ring형

 

hub: 중앙제어장치 => 얘가 나오면 무조건 스타형

링형: 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흐른다는 것에 유의

트리형: 허브가 계층구조름 이룸, 단위 네트웍은 아님

hybrid형: 실제 네트웍 형태

 

 

네트워크의 범주(Categories of Network)

-> Network의 coverage가 어떻게 되느냐.. 얼마나 지역적으로 멀리 퍼져 있느냐

 

근거리통신망(LAN) : 개인 소유이거나 단일 사무실, 학교 혹은 건물 등에 있는 장치를 연결한다.

 

도시통신망(MAN) : LAN과 WAN의 중간 크기의 네트워크이다. 보통 도시 전체를 담당한다.

 

광역통신망(WAN) : 국가, 대륙 또는 전세계를 포괄하는 광대한 영역에 데이터, 음성, 영상 및 비디오 정보의 장거리전송을 제공한다.

 

 

인터넷이란?

 

internetwork : 네트워크끼리 연결된 덩어리 자체를 의미한다.

소문자를 사용하는 internet : 서로 통신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의미

 

인터넷의 간단한 역사

 

: 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짐(국방을 위해)

처음엔 메인프레임에 모두 저장하는 형태였다.-> 폭격당하면 끝이므로 새로운 구조 필요성 느낌

 

DOD(Department of Defense: 국방부) 산하의 ARPA(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:고급 연구 프로젝트 기구)라는 연구소에서 연구=>네트웍 만듦 ARPANET

 

 

중간 연결 기기 IMP(Interface Message Processor)라는 특별한 컴퓨터에 연결

=> 사용하던 프로토콜 : NCP(Network Control Protocol)

=> 전문화해서 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
 

 

오늘날의 인터넷

 

인터넷을 써야겠다는 것은 수많은 연결들 속으로 들어가려는 것

 

=> 일단 어딘가에 연결을 해야함

=> 통신 사업자들이 연결 통로를 구축해놓고 인터넷 서비스를 팔기 시작함

-> 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

 

 

* Peering : 각 ISP 사업자끼리 연결하는 행위(연결되는 지점: Peering Point)

 

=> 미국은 지역이 넓어서 ISP하나로 커버가 안됌(우리나라는 됌)

NSP라는 게 있음(National Service Provider)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