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프로그래밍에서 “추상화”라는 말씀을 들어보셨나요?
이는 복잡한 문제나 시스템을 단순하게 만드는 방법을 의미합니다. 프로그래머분들께서는 이런 추상화를 통해 핵심 기능에만 집중하실 수 있죠. 이것을 예를 들어 설명드리자면, 건축가가 건물을 설계할 때 각 층의 세부 사항은 생각하지 않고 전체적인 구조만을 그릴 때와 비슷한 원리입니다.
추상화는 프로그래밍에서도 여러 형태로 표현되곤 합니다. 함수나 메소드를 통해 특정 작업을 감추거나, 클래스와 객체로 데이터와 기능을 함께 묶는 것도 그 예시 중 하나입니다. 이렇게 만들어진 코드는 다시 사용하기도, 수정하기도 편리하답니다.

일상생활에서도 추상화의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. 전기 스위치를 누를 때, 그 안의 복잡한 원리나 회로를 모르고도 사용할 수 있는 이유, 그것이 바로 추상화의 덕분입니다.
이처럼 세부적인 부분을 감추고, 사용자나 개발자분들께 단순한 인터페이스만 제공하는 것, 이것이 바로 추상화의 힘이에요. 이 원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프로그래밍을 배우시면서 여러 도구나 기술에 대해 알게 될 텐데, 그 기본 아래에는 ‘추상화’라는 원리가 깔려 있다는 것,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.
반응형
'무근본 IT 지식 공유 > 무근본 자바(JAVA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생성자 규칙 - 상속 시 Super() 위치 (1) | 2023.11.25 |
---|---|
‘Call by Value’와 ‘Call by Reference’에 대하여 -왕초보도 이해하는 자바 (0) | 2023.09.16 |
오버로딩, 오버라이딩 차이가 대체 뭔데?-왕초보도 이해하는 자바 (0) | 2023.09.16 |
가비지 컬렉터가 대체 뭐야?-왕초보도 이해하는 프로그래밍 (0) | 2023.09.16 |
[무근본자바(JAVA)] OOP의 다섯가지 설계 원칙이 뭔데? 쉽게 설명해줄게 (0) | 2023.08.22 |
댓글